오존파괴물질(ODS)의 대체 물질 사용
1) 주요
-오존파괴물질의 대체 물질 사용 소개 : 오존파괴물질(ODS ; Ozone Depleting Substance)의 대표적인 것은 프레온 가스이며, 이를 대체하기 위해 불소계 온실가스가 개발 소개되었으나 지구온난화 지수가 높은 온실가스로 밝혀졌다. 불소계 온실가스의 배출 형태는 탈루 배출이 대부분이며, 국내 목표관리제에서는 의무보고대상으로 분류하고 있지 않으며, 2013년부터 의무보고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ODS를 포함한 제품 제작자는 배출량을 보고는 하나, 관리업체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에는 합산하지 않는다.
-오존파괴물질의: 오존층파괴의 대표적 물질인 프레온은 부식성이 없는 무색 무미의 화학물질로 인체에 무해하며 매운 안전하여 폭발성도 없고 불에 타지도 않기 때문에 냄매 이외에도 발포제, 스프레이나 소화기의 분무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학산업이나 전자산업 등에서 제품 생산공정의 세척제 등 다양한 용도로 소비된다. 그러므로 프레온의 우수한 물성을 지니면서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했으며, 이러한 목적을 충족하는 대체 물질로서 HCFC-22 및 HFC-132a가 개발 보급되었다. 그러나 대체 물질 역시 지구 온난화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교토의정서에서는 온실가스로 채택하여 규제하고 있다. ODS 대체 물질은 주요 용도에 따라 비에어로졸 용매, 에어로졸, 발표제 냉동 및 냉방 부문의 냉매, 소화기 전기설비 및 기타 부문으로 구분될 수 있다.
-ODS 대체 물질 사용 공정도 및 공정 설명 : 2011년부터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도에서는 ODS 대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제품의 제작 단계에서 주입 또는 사용되는 양을 별도 보고대상으로 하며, 전기설비를 제외한 사용 단계에서의 탈루성 배출은 보고대상으로 정하지 않고 있다.
ODS 대체 물질의 용도 및 대표 물질은 배출시설이 비에어로졸 용매인 경우 용도는 CFC-113 대체 물질로서 정밀 세척, 전자 세척, 금속 세척, 불순물 탈착 시 사용하고 대표 물질로는 HFC-43-10me이다. 배출시설이 에어로졸인 경우 용도는 추진제와 용매로 사용하고 대표 물질로는 추진제는 HFC-134a, HFC-227ea, HFC-152이고 용매로는 HFC-245fa, HFC-365 mfc, HFC-43-10 mee이다.이다. 배출시설이 발포제인 경우 용도는 CFCs 대체로 HFCs가 사용되고 있으며, 개방형 기초와 폐쇄형 기포로 구분되고 대표 물질은 HFC-245fa, HFC-365 mfc, HFC-227ea, HFC-134a, HFC-152a이다. 배출시설이 냉동 및 냉방인 경우 용도는 CFCs와 HCFCs를 대체하기 위해 냉동 및 냉방장치의 냉매로 사용되고 대표 물질로는 HFC-134a, R-407, R-410A이다. 배출시설이 소방 부문이면 용도는 할론 대체 물질로 개발 보급,, 전기의 공급원에서 공기 조절 시 화재 발생원 관리, 화재 방재용 설비 촉진물이고 대표 물질은 HCFCs, PFCs이다
(2) 주요 배출시설의 이해
ODS 대체 물질 사용 부문에서 온실가스 공정배출 분야는 비 에어로졸 용매, 에어로졸 냉동 및 냉방, 소방 부문, 발포제 전기설비 및 기타 부분이다. 각 시설별 배출원인은 다음과 같다.
비에어로졸 용매의 온실가스 배출 원인은 제품 제조 시 탈루 배출,, 용매인 불소계 온실가스의 제품 보관 및 사용형태는 반개방형으로 제품 사용 과정에서 외부로 즉각 배출, 용매는 제품 사용 후 2년 이내에 모두 배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에어로졸의 온실가스 배출 원인은 제품 제조 시 탈루 배출,, 불소계 온실가스의 제품 보관 및 사용 형태는 반개방형으로 제품 사용 즉시 배출, 대부분 제품 판매 후 2년 이내에 모두 배출됨. 발포제의 온실가스 배출 원인은 개방형 기포는 HCFCs가 제품 제조 과정 및 제조 직후 탈루 배출,, 폐쇄형 기포는 HCFCs가 제품 사용 중 탈루 배출이다.. 냉동 및 냉방의 온실가스 배출원인은 냄매 주입(초기 주입 및 재충전 시)-사용-폐기단계에서 탈루 배출,, 냉매의 제품 보관 및 사용 형태는 폐쇄형으로 사용 과정에서 탈루 배출은 미량으로 추정되고, 주입 및 재충전, 제품 폐기 과정에서 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탈루 배출이 높다. 소방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원인은 생산 과정에서의 탈루 배출은 개방형, 제품 사용 시는 개방형으로 즉시 탈루 배출, 소화가스는 용기 안에 충진 하여 사용되므로 제품 수명과 배출이 밀접한 관련이 있는 폐쇄형 탈루 배출,, 제품 사용 시 즉각 탈루이다. 전기설비의 온실가스 배출원인은 생산과정에서는 개방형 탈루 배출,, 설치-사용-유지관리-폐기 과정에서 폐쇄형 탈루 배출이다..
-국내 목표관리제에 의하면 오존파괴물질의 대체 물질 사용 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은 비에어로졸 용매, 에어로졸, 발포제, 냉동 및 냉방, 소방, 전기설비, 기타 사용. 이렇게 총 7개 시설이다.
'온실가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질산 생산 (0) | 2022.03.07 |
---|---|
22. 암모니아 생산 (0) | 2022.03.03 |
20. 전자산업 (0) | 2022.02.08 |
19. 납 생산 (0) | 2022.01.26 |
18. 아연 생산(2) (0) | 2022.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