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실가스

13. 이동연료

by ※§㉾¶▦ 2022. 1. 17.

이동연소의 특성

이동연소는 부문의 공정은 사업자가 소유하고 통제하는 운송수단으로 인한 연료 연소로 인해 온실가스가 발생하는 과정이다. 이는 자동차, 기차, 선박, 항공기 등 수송차량에서 연료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설비를 말한다. 수송용 내연기관은 이동수단의 종류와 차종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동연소에서 온실가스 배출시설은 항공(민간, 기타 항공기), 도로(승용, 승합, 화물, 특수, 이륜, 비도로 및 기타 자동차), 철도(고속차량, 전기기관차, 전기동차, 디젤기관차, 디젤동차, 특수차량), 선박(수상항해 선박, 어선, 기타 선박) 등이 있다. 이동연소 배출공정별 배출 원인으로는 항공 : 항공기 엔진의 연소가스는 대략 이산화 탄소는 70%, 물은 30%, 기타 대기오염물질 1% 민만으로 구성되고 최신 기술이 적용된 항공기에서는 메탄과 아산화질소는 거의 배출되는 않는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항공기의 운항 횟수, 운전 조건 엔진 효율 비행거리, 비행단계별 운항시간, 연료 종류 및 배출 고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공기 중에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약 10%는 공항 내에서의 운행과 이착륙 중에 발생하고, 90%가량이 순항 과정의 높은 고도에서 발생한다. 국제선 운항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등은 산정 및 보고서에서 제외한다. 도로 : 자동차는 내연기관에서의 화석연료에 의해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등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건설기계, 농기계 등 비도로 차량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도 별도 구분 없이 도로수송에 포함시켜 배출량을 산정한다. 철도 : 철도 부문은 일반적으로 디젤, 전기 증기 중 하나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철도 기관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선박 : 국제수상운동(국제벙커링)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산정 및 보고에서 제외한다.

육상 이동연소

도로 : 도로 차량의 종류는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이륜자동차, 비도로 및 기타로 구분되며 각 종류별로 크기에 따라 경형,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된다. 도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으로는 승용차, 소형 트럭과 같은 소형차, 트레일러 및 버스와 같은 대형차와 스쿠터, 삼륜차 등의 모터사이클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종들은 가스와 애체 연료의 형태로 운행된다. 도로 이동 부문의 배출은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것과 촉매변환장치 사용에 따른 배출량도 도로 이동 부문에서 다루어진다.. 현재는 연료의 완전 산화를 가정하고 배출계수를 산정하고 있으며, 요소를 사용하는 촉매변화장치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원 배출량 산정방법은 여기서 다루지 않고 있다. 도로 이동 부문에서 산정된 배출량은 연료 사용량과 차량 주행거리에 근거를 둘 수 있다. 두 가지 자료 모두 사용할 경우 연료 사용량과 차량 이동거리를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다. 두 가지 자료를 모두 사용할 수 없다면 다른 온실가스에 대한 배출량 산정이 일관이 없게 될 수 있다.

철도 : 철도 차량의 종류로는 고속차량, 전기기관차, 전기동차, 디젤기관차, 디젤동차, 특수차량 등 6종류가 있다. 이 중 디젤유를 사용하는 철도 차량으로는 디젤유를 연로로 사용하는 내연기관에 의한 발전한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모터를 돌려 열자를 견인하는 디젤기관차와 디젤유를 연료로 하는 내연기관에 의한 철도 차량을 움직이는 디젤동차, 특수차량 등이 있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철도 차량으로는 고속차량, 전기기관차, 전기동차 등이 이에 해당된다. 증기기관차는 일반적으로 관광용 같은 국한된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으며, 발생되는 온실가스는 상대적으로 적다.

행상 이동연소

선박 : 선박 부문에 대한 배출시설은 수상항해, 국내 항해, 어선, 기타로 구분한다. 수상항해는 수상 선박을 추진하기 위해 사용된 연료로부터의 모든 배출을 적용 범위로 보고 호버크라프트와 수중익선이 포함되며, 어선은 제외이다. 국제/국내 항새의 구분은 출발 항만과 도착 항만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국내 항해는 동일 국가 내에서 출항 및 입항하는 모든 선박으로부터의 배출(어업과 군용은 제외)을 의미하고, 상당히 멀리 떨어진 두 항만 사이의 운항을 포함한다. 어선은 내륙, 연안, 심해 어업에서의 연료 연소로부터의 배출을 말하고 어업은 그 나라 안에서 연료 보급이 이루어진 모든 국적의 선박을 포함한다. 기타는 다른 곳에서 지정되지 않은 모든 연료 연소로부터의 수상 이동 배출을 말한다.

항공 이동연료

항공은 민간 항공, 국내 항공, 기타 항공으로 나뉜다. 민간 항공은 이착륙을 포함하는 구내 및 국제 민간 항공에 의한 배출이며, 국내 항공과 국제 항공의 구분을 위한 기준은 국내선은 동일 국가에서의 출발과 도착, 국제선은 한 나라에서 출발 후 다른 나라에 도착으로 구분한다. 국내 항공은 이착륙을 동일한 국가에서 하는 민간 국내 여객 및 화물항공기) 상업수송기, 개인 비행기, 농업용 비행기 등)로부터의 온실가스 배출로 동일 국가 내의 멀리 떨어진 두 항공 사이의 비행이 포함된다. 기타 항공은 위에서 지정되는 않은 모든 항고 이동원의 연소 배출이 포함된다. 항공 부문의 배출시설은 민간 항공기는 다시 국내 및 국제 민간 항공기로 구분하며, 그 외외의 항공 이동원의 연소 배출은 기타 항고기로 나눠진다. 일반적으로 군용 항공기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으나, 대외비이므로 군용 항구기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은 산정하지 않고 있다.

 

'온실가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철강 생산(2)  (0) 2022.01.19
14. 철강 생산(1)  (0) 2022.01.18
12. 고정연료  (0) 2022.01.12
11. 기후변화 대응전략 수립 (2)  (0) 2022.01.10
10. 기후변화 대응전략 수립 (1)  (0) 2022.01.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