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22 24. 카바이드 생산 카바이드 생산 (1) 주요 -카바이드 생산공정 정의 : 카바이드의 생산은 일반적으로 원료 종류에 따라 칼슘카바이드 생산공정과 실리콘카바이드 생산공정으로 구분하고 있다. 생산공정은 원료를 전기아크로 또는 전기저항 가마에서 열을 가하여 용융시켜 생산된다. -공정도 및 공정 설명 ①칼슘카바이드 생산공정 :칼슘카바이드(탄화석회) 생산공정은 일반적으로 코크스 건조공정, 석회석 생산공정, 카바이드 생산공정, 분쇄 및 선별공정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외에 공정 특성상 분진 발생이 높아 집진 설비를 일반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있다. 코크스 건조공정은 칼슘카바이드의 생산공정에서 코크스는 주요 반응물질(환원제와 산화제 역할을 동시에 수행)로 사용되며, 대기 중의 수분흡수 능력이 높다. 그러므로 공정 투입에 앞서 코크.. 2022. 3. 8. 23. 질산 생산 질산 생산 (1) 질산 생산공정 소개 -질산 생산은 질소 비료 제조뿐만 아니라 아디프산, 폭발물 생산, 비철금속공정 등 다양한 부문에서 이용되고 있다. 질산 생산공정은 크게 산화공정(제1산화공정과 제2산화공정)과 흡수공정으로 구분한 수 있다. 제1산화공정은 암모니아를 산화시켜 일산화질소를 생산하는 것이며, 제2산화공정은 일산화질소를 이산화질소를 생산하는 공정이며, 흡수공정은 이산화질소를 물에 용해시켜 질산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공정도 및 공정 설명 : 질산 생산공정은 제1산화공정, 제2산화공정 흡수공정이며, 공정 특성상 NOx 생산이 높기 때문에 배기가스 처리시설로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환원법)이 설치 운영되고 있다. ①암모니아 산화반응 (제1산화공정.. 2022. 3. 7. 22. 암모니아 생산 암모니아 생산 (1) 주요 공정의 이해 암모니아 생산공정은 수소와 질소를 고온고압에서 촉매 반응을 통해 암모니아로 합성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반응식에서도 알 수 있듯 암모니아 생산을 위해서는 원료물질인 질소와 수소를 안정적이고 저렴하게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질소는 대기로부터 부리 정제하여 사용하거나 직접 공기 사용이 가능한 반면에 수소는 탄화수소를 부분 산화하여 생성 확보해야 한다. 암모니아 생산공정은 크게 합성원료 제조공정, 정제공정, 암모니아 합성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합성원료 제조공정은 탈황공정, 개질공정, 변성공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제공정은 수소의 순도를 높이는 공정으로 흡수탑과 메탄화로로 구성되어 있다. 암모니아 합성공정은 합성탑과 암모니아 분리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탈.. 2022. 3. 3. 21. 오존파괴물질(ODS)의 대체 물질 사용 오존파괴물질(ODS)의 대체 물질 사용 1) 주요 -오존파괴물질의 대체 물질 사용 소개 : 오존파괴물질(ODS ; Ozone Depleting Substance)의 대표적인 것은 프레온 가스이며, 이를 대체하기 위해 불소계 온실가스가 개발 소개되었으나 지구온난화 지수가 높은 온실가스로 밝혀졌다. 불소계 온실가스의 배출 형태는 탈루 배출이 대부분이며, 국내 목표관리제에서는 의무보고대상으로 분류하고 있지 않으며, 2013년부터 의무보고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ODS를 포함한 제품 제작자는 배출량을 보고는 하나, 관리업체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에는 합산하지 않는다. -오존파괴물질의: 오존층파괴의 대표적 물질인 프레온은 부식성이 없는 무색 무미의 화학물질로 인체에 무해하며 매운 안전하여 폭발성도 없고 불.. 2022. 2. 23. 이전 1 2 3 4 ··· 6 다음